본문 바로가기
사주 역학 점성술

간산 사주명리 일주론 갑목 일간생 (2)

by 소일장 2025. 6. 30.
반응형

간산 사주명리 일주론 갑목(甲木) 일간의 생월(生月) (2)

寅월 甲목 :

1. 丙화 (태양)가 최우선입니다.

2. 癸수 (봄비, 투출 못하면 地支에만 있어도 좋다.)

3. 아직 弱목이라 庚, 辛금(편관, 정관)을 꺼림 (가난과 요절. 丁화로 제련해 주면 좋다.)

4. 지지 (地支) 수국 (水局)엔 戊토 (財성)로 제 (制) 하지 못하면 정신 손상이나 극빈 (토극수, 土克水 못하면 썩은 나무 신세)

 

卯월 甲목 :

1. 막강 甲목이니 庚금(가지치기) 필수입니다.

2. 丁화(온열) 혹은 丙화(태양)의 지속적 필요성이 있습니다.

3. 지지대土 (甲목이 강해서 관살 庚금이 약해지니 재 (財) 성 土의 지지대 역할인 생조가 필수)의 필요성이 있습니다.

4. 庚금 (없으면 하격)이나 丁화가 없을 땐 土도 차선책입니다.

 

辰월 甲목 : 

1. 庚금 (관성. 가지치기) 필수입니다.

2. 壬수 (물 공급 필수, 土 강세 辰월이니 癸수로는 약함)

3. 토(財성)가 약하면 빈천합니다.

4. 庚금이 없어도 하격입니다.(甲목은 庚금과 대부분 좋은 관계)

5. 庚금이 투출하면 중요시험 합격. 단 암장된 庚금은 무용지물입니다.

6. 고전명리학적 입장 : 水 (印 성) 없음 + 戊, 己토 투출 + 지지 (地支) 土국) = (부귀+유능한 처자식)

 

巳월 甲목, 午월 甲목, 未월 甲목 :

1. 일단 癸수가 있는 성격입니다.

2. 癸수가 庚금 (甲목치기 癸수 생조)이 양투 (兩透, 양쪽 모두 투출)하면 최상입니다.

3. 水가 있다면 丁화, 庚금이 필요합니다.

4. 丙戊가 함께 양투 (兩透)하면 하격입니다.

5. 癸丁이 투출 못 해도 하격입니다.

6. 水가 전무하거나 남방 운세가 흘러도 하격입니다. (지지에도 水가 없으면 즉시 목분화열 (木焚火熱) 하니 최하 격입니다.

7. 水가 있어도 戊토가 제 (制)하고 있다면 하격입니다.

8. 癸수가 없으면 무조건 하격입니다. (壬수만 투출해도 재물은 건진다)

9. 여름 甲목이 水를 못 쓰고 辰토 재성을 쓰면 조후엔 어긋나지만 재물은 있습니다.

10. 夏木에 金 (관) 운이 오면 재앙 (그러나 壬癸수가 투출 통관시켜 주면 무사히 金운세를 넘길 수 있습니다.

11. 辰토는 水 차고라서 미약하니 불가합니다.

12. 未월 甲목이 丁화를 쓰면서 북방 아닌 남방 운이라면 흉입니다.

13. 甲목이 미약하고 관살 (金)이 있다면 하격입니다.

14. 甲목이 무성하면 庚금을 쓰고, 庚금이 지나치면 丁화를 쓰는데 꼭 계 (癸) 수가 있어야 합니다.

15. 여름 甲목은 火 상관 (傷官)이라 생각/의심이 많습니다.

16. 丁화 + 庚금 (벽갑인정 壁甲引丁, 庚금으로 甲목을 쪼개서 丁화를 생조함. 出 궁통보감) 고전명리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내용이지만 논리가 좀 부족하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申월 甲목. 酉월 甲목 :

1. 정경 (丁庚)을 쓸 수 있다면 (투출 하면) 상격입니다.

2. 酉월은 辛금이 강하니 丁화가 없다면 병 (丙) 화가 차선책입니다.

3. 가을, 겨울엔 최우선은 丁화, 그다음은 庚금 ( 甲목 = 장작, 장작을 만드는 용도의 도끼)을 쓰면서 丙화 (조후), 丁화 (庚金을 제련)가 모두 있으면 최상 격입니다.

4. 申월에 정경(丁庚) 벽갑인정 (壁甲引丁)이 모두 없다면 하격. 丁화가 암장이면 작은 부자 (財 성 戊 토를 생조함) 정도

5. 酉월에 庚丙丁이 모두 없다면 최하 격입니다.

6. 癸수가 丁화를 위협할 때는 戊토로 水기운을 제(制) 하면서 丁화를 살려야 합니다.

7. 壬수는 丁화와 合이 되니 무용지물입니다.

8. 丁화는 상관견관 (傷官見官)이라도 귀격이 됩니다.

9. 고전명리학적 입장 : [지지 金금] + [庚금 투출] = 요절, 중병

10. 가을生 甲목이 토가 왕성하면 하격입니다.

11. 丁화의 기능 [화生토 (부 가능), 화克금 (庚금 제련. 公職 가능)

 

戊월 甲목 :

1. 戊토가 건조해서 약하니 임계 (壬癸) 수가 있어야 합니다.

2. 정경 (丁庚)이 투출해야 (쓸 수 있어야) 상격. 지장간 丁화가 있으니 병 (丙) 화도 차선책입니다.

3. 병정 (丙丁) 화가 드세거지 지지 火국 (金 소멸)에 암장된 임계 (壬癸) 수 (습토 조성)조차 없다면 최하 격입니다.

4. 정경계 (丁庚癸) 모두 없으면 최하 격입니다.

5. 甲목이 강하면 庚금을 쓰고 庚금이 많으면 丙丁화로 제(制) 해야 상격입니다.

6. 丙화로는 물을 덥힐 수 없고 金을 제거할 수 없습니다. (戌월 甲목에서 임계 (壬癸) 수와 庚금을 위해서는 丙화보단 丁화가 낫다는 말씀)

 

亥월 甲목 : 

1. 庚금(도끼)ㅔ다가 戊토가 강한 水 기운 (亥월, 11월)을 제(制)하면 최상 격입니다.

2. 庚丁 (벽갑인정 壁甲引丁)과 丙화 (조후)을 갖추면 상격. 없다면 하격입니다.

3. 수왕(水旺) 하면 甲목은 부목 (浮木)이 되니 하격 (이때는 戊토로 제(制) 해야 함). 水 운세까지 가세하면 최하 격입니다. (요절, 중병)

4. 甲목이 많이 戊토를 제(制)하거나 庚금이 무한(無限)이면 중격입니다.

 

子월 甲목, 丑월 甲목 :

1.丁 (최우선) 庚이나 병경 (丙庚)이면 상격입니다.

2. 子월엔 壬수 투출에 경( 庚) 금을 보거나 지지 木 국이면 (浮木, 신약 (身弱) - 단 寅목이 있으면 다행) 흉! 이때 병정 (丙丁) 화가 있어야 상격입니다.

3. 축(丑) 월엔 庚금 (귀천 결정)이 없으면 비천하고 丁화 (빈부 결정)가 없다면 흉! 이때 庚금이 있어도 丁화 (겨울엔 조후 우선)가 없다면 허사입니다. 단 丁화가 없으면 丙화 (이때 지지에 寅, 巳가 있어야 함)로 대신할 수 있지만 庚금을 辛금 (격이 낮아짐)으로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4. 경정병 (庚丁丙)이 없으면 하격입니다.

5. 계 (癸) 수가 투출하면 丁화가 손상되니 하격. 이 때 무기(戊己) 토로 제(制) 하지 못하면 중병입니다.

6. 비견 (比肩, 甲목) 없이 丙丁화만 있으면 재주와 힘이 오래 못 갑니다.

7. 겨울 木에 金 관살이 가세하면 甲목 동사입니다. (凍死, 그래서 丙丁화 최우선)

8. 겨울 水로 木을 生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때 水가 범람하면 부목(浮木)이 되거나 병정 (丙丁)화를 손상시킬 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