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괴강살(魁罡殺)
1. 戊, 庚, 壬 천간에 辰 / 戌 (천강 辰토와 하괴 戌토는 물(신자진)과 불(인오술) 기운이 묘(墓)지, 고(庫)지로 들어가는 곳) 지지가 붙게 되는 구조. 참고로 극단적 申금의 지장간이 (戊 / 庚 / 壬)이다. (간산 說)
2. 극단적 길흉 (부귀 / 극빈, 고위 공직 / 밑바닥 인생 등). 극단적 총명과 비범한 머리와 창의성.
드라마틱한 운세의 부침과 기복, 독특한 발상 / 관점 / 시각 / 상상력 / 잠재력
양극단의 가치관 ( 예시 : 연쇄살인마, 대학자, 스타 연예인, 대부호), 편집증 / 결벽증 / 승부욕
이국적이면서도 매력적인 외모, 급격한 환경변화, 사람을 제압하는 힘, 넘치는 재물
예상치 못한 힘 / 변고. 독선적인 우두머리 기질 (강력한 리더십) 등으로 나타난다.
3. 戊辰 / 戊戌, 庚辰 / 庚戌, 壬辰 / 壬戌 등이 괴강 일주 (백호처럼, 일주에서 먼저 성립되어야 다른 주에서도 성립 가능)이다.
위 6가지를 다 인정하는 학자가 대부분이다. (김동완 / 맹기옥 / 간산 說)
무진 / 임술을 약하다고 봐서, 괴강에서 제외하는 전문가도 있다. (강헌 / 이정호 說)
4. 좋은 구조의 괴강격 사주에서 일주를 강하게 해 주는 대운, 세운이 붙으면 백호(白虎) 살처럼 큰 출세 / 지도자감으로 부상 / 예상치 못한 승진, 재물이나 권력 획득 등으로 급변하기도 한다.
5. 역시 일주에 괴강이 올 때 가장 영향력이 크다.
6. 떠도는 사주명식. 백호+괴강+강여지동의 특성이 동시 폭발한 것은 난지 고려할 것.
7. 괴강이 형 / 충을 당하면, 이상한 변고 / 큰 반전 / 변태적 성향에 휘말리게 된다. (간산 說)
*참고 괴(魁) : 괴수 / 우두머리. 강(罡) : 북두성 / 별 이름 / 꿋꿋함.
6) 천을귀인 (天乙貴人, 혹은 天乙貴神, 혹은 玉堂 貴人)
1. 인접한 지지 丑未 (일간이 甲戊庚 일 때. 冲 성립 불가), 子申(일간이 乙己일 때), 酉亥 (일간이 丙丁일 때), 寅午 (일간이 辛일 때), 卯巳 (일간이 壬癸일 때) 등이 천을귀인에 해당한다.
2. 학문, 행복, 조상덕, 직업운, 귀인의 도움, 확 풀리는 운세 등으로 나타나는데, 가장 영향력이 있는 긍적 신살이다.
3. 하나만 있어도 좋고 둘이면 거의 일생이 편안하다고 할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 (영향력 순서 : 일주 > 월주 > 시주 > 연주). 나를 보호해 주는 부모 / 보호자 / 수호천사 / 경호원과 같은 기능이다.
4. 특히 원국에서 일주나 월주의 천을귀인이 식상과 같이할 때 / 대운에서 천을귀인이 겁재와 동반해서 올 때가 가장 좋다.
5. 특히 고전명리학에서는 다음 일주의 천을귀인을 일귀격 (日貴格, 丁酉, 丁亥, 癸卯, 癸巳 일주)이라 하여 높게 인정한다. 그러나 현대명리학에서는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6. 보통은 2개 지지가 함께 붙어 있을 때 천을귀인으로 인정하는 편이다.
7. 여성이 일주 / 월주에서 천을 - 관성과 함께할 때, 남편복 / 직장복을 공유하는 큰 기쁨
8. 천을은 강한 힘을 가진 십신 / 신살 / 대세운 / 12 운성을 만날 때가 가장 좋다.
예) 대운에서 천을+겁재로 온다면 최상이다.
9. 형 / 충이 되면 凶한다.
7) 문창귀인 (文昌貴人)
1. 인문학적 성취욕구 / 통찰력 / 박학다식 / 재주 / 재능 / 글재주 / 지적 호기심 / 학습능력을 뜻함.
영향력 순서 : 일주 > 시주 > 월주 > 연주
2. 상관을 만났을 때 지적능력 / 총명함 / 창의성이 가장 돋보인다.
3. 문창이 장생을 만나면 가장 좋지만, 사 / 묘 / 절 / 形冲을 만나면 凶해지거나, 아니면 좋은 힘이 무력화된다.
4. 지지 巳 (일간이 甲목일 때), 午 (일간이 乙목일 때), 申 (일간이 丙화 戊토일 때), 酉 (일간이 丁화 己토일 때), 亥 (일간이 庚금일 때), 子 (일간이 辛금일 때), 寅 (일간이 壬수일 때), 卯 (일간이 癸수일 때) 등이 문창귀인에 해당한다.
5. 단, 보통 일간 기준이지만, 세간(매년 다가오는 세운의 천가)을 일간 대신 대입하기도 한다.
8) 귀문(鬼門, 혹은 귀문관(鬼門關))
1. 귀문은 정신집중 / 산만한 심리 / 신경 예민 / 두뇌회전 / 감수성과 끼 / 기인 / 예술가적 풍모와 재질 / 작가 / 엉뚱하고 기이한 행동 / 정신질환 (木 관련 귀문) / 접신 (接神, 신들림) / 신내림 / 광기 (狂氣) / 영특함 / 깨달음 / 역술 / 명상 / 기도 / 정신수련 / 타인의 마음을 꿰뚫어 보는 직관 등과 관련된다.
형태는 귀문 / 원진이 서로 유사하다.
사주에 귀문 / 원진이 있으면 사주명리 / 역학 공부의 인연이 생기기도 한다.
2. 일지 기준으로 子酉, 丑午, 寅未, 卯申, 辰亥, 巳戌 지지가 서로 인접해서 만날 때가 귀문이 성립된다. (강헌 / 간산 說)
3. 寅未 / 卯申 (인미 / 묘신, 질병 문제)과 辰亥 (진해, 고립 / 소외 / 파괴) 문제의 영향력이 최강이다.
4. 부모나 조상과 관련될 때는 연월支에, 본인 및 배우자와 관련될 때는 월일支에 자식과 관련될 때는 일 支 / 시 支의 위치에서 많이 나타난다. (맹기옥 說)
5. 종교적 맹신 혹은 독설, 신경 예민 그리고 원진살, 화개살(신내림, 접신, 무(巫) 병)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을 맺을 때도 많다.
6. 결단력 / 추진력 / 배포가 약해서 집단의 리더나 사업 경영에서는 다소 불리함
7. 귀문은 형충(刑冲)을 당할 때 정신적 문제발생이나 질병 가능성이 훨씬 높아진다. (맹기옥 說)
8. 간혹 위대한 사상 / 철학 / 예술 (예술가적 감수성) / 종교 / 기인 (奇人)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9. 형태는 원진과 흡사하고, 내용적으로는 괴강과 비슷하지만, 귀문의 힘 / 영향력은 약하다.
10. 일월支가 붙어 있는 귀문일 때 영향력이 가장 크다.
11. 정신적 에너지의 고갈 / 충만 현상과 관련이 깊다.
12. 木관련 귀문은 정신질환과 연관된다. (맹기옥 / 간산 說)
9) 원진살 (怨嗔殺)
1. 이유나 논리적 근거 없이 서로 증오 / 투쟁 / 갈등 / 마찰하는 간접적이고도 심리적인 형태로 많이 나타나는 흉살인바, 흔히 말하는 이유 없는 미운 놈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2. 주로 인접한 지지 위치에 子未, 丑午, 寅酉, 卯申, 辰亥, 巳戌 등이 올 때다 (맹기옥 說)
3. 연지 / 월지 원진이면 조부모 - 부모 - 본인 사이의 마찰과 증오
월지 / 일지 원진이면 부모 - 자식(본인) / 형제자매지간 / 고부지간 / 처가나 시댁과의 마찰
일지 / 시지 원진이면 부 - 부 지간 / 부모 (본인) - 자식 사이에서 미움이나 불화 (맹기옥 說)
4. 일월支가 붙어 있는 원진일 때 영향력이 가장 크다. (강헌 / 간산 說)
5. 원진살은 보통 일지 혹은 연지를 기준 (연+월 / 월+일 / 일+시)으로 살핀다. (맹기옥 說)
6. 식상+원진과 진해( 辰亥) 원진의 부정적 영향력이 최강이다. (강헌 說)
7. 일지 기준으로 월지 + 일지 / 일지 + 시지가 서로 인접해서 만날 때 성립함 (간산 說)
귀문 / 원진의 공통점 : 예민 / 감수성 / 신기운 / 잔병치레 / 사업에 취약 / 빠른 직관 / 신약 일간일 때 영향력이 상승
10) 삼재(三災)
삼재(三災)는 사찰에서 스님들이 많이 언급하고 있지만, 사실 불교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그냥 직업활동 / 사회활동 / 건강문제 등에서 조금 조심하라는 정도의 의미이다. 너무 광범위하게 강력하게 퍼져 있어 마치치 신살을 대표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너무 과장 확대된 것으로 인식되거나, 다소 부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는 부적강요 / 문제해결을 위한 굿 / 겁주기 / 처성 빙자 / 기도행위 등을 요구하는 사이비 / 종교집단 / 무속인 / 역술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바, 현혹됨이 없기를 바라는 심정이다. 이런 것이 있다는 정도로만 참고하기 바람. 삼재를 인정하지 않는 전문가가 오히려 많다.
3합을 사용하기에는 삼재는 사회활동 / 직업활동 / 건강 영역에서 조금 참고하는 편이다. (간산 說)
1. 木기운이 강한 亥, 卯, 未 년생은 金 기운이 들어오는 申, 酉, 戌 3년이 위험하니 사전에 해당하는 巳, 午, 未 해부터 조심하라는 경고적 의미이다.
2. 火기운이 강한 寅, 午, 戌 년생은 水 기운이 들어오는 亥, 子, 丑 3년이 위험하니 사전에 해당하는 申, 酉, 戌 해부터 조심하라는 경고적 의미 (유비무환적 의미)이다.
3. 金기운이 강한 巳, 酉, 丑 년생은 木기운이 들어오는 寅, 卯, 辰 3년이 위험하니 사전에 해당하는 亥, 子, 丑 해부터 조심하라는 경고적 의미(유비무환적 의미)이다.
4. 水기운이 강한 申, 子, 辰 년생은 火 기운이 들어오는 巳, 午, 未 3년이 위험하니 사전에 해당하는 寅, 卯, 辰 해부터 조심하라는 경고적 의미(유비무환적 의미)이다.
5. 들삼재 (3년 중 처음 들어오는 삼재, 즉 3재 3년 중의 첫해)
눌삼재 (누운, 눌어붙은 삼재, 혹은 묵은 삼재. 3재 3년 중의 둘째 해)
날삼재 (나가는 삼재. 3재 3년 중의 마지막 셋째 해. 가장 조심). 3가지 형태가 있다.
6. 삼재 영향력의 유효 기간
6-1 인신사해(寅申巳亥) 생지 해에 태어난 사람은 3 재가 3년 계속 (첫째, 둘째, 셋째 해 모두) 지속되는 형태를 가진다.
6-2 자오묘유(子午卯酉) 왕지 해에 태어난 사람은 3재와 눌삼재와 날삼재 즉 2년 동안 (둘째 해와 셋째 해)만 유효하다.
6-3 진술축미(辰戌丑未) 묘지 해에 태어난 사람은 3재가 날삼재 (3년 중 마지막 셋째 해)만 해당한다. 삼재 중에서 가장 조심해야 한다.
'사주 역학 점성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신살 - 천문성, 탕화살, 공망, 60 갑자 空亡 도표 (0) | 2025.06.29 |
---|---|
일반 신살 - 3형살, 양인, 천라망상, 현침살 (0) | 2025.06.29 |
일반 신살 - 화개살, 도화살, 백호살의 정의 및 특징 (0) | 2025.06.28 |
일반 신살 (一般 神殺)의 개념과 특성, 일반 신살 각론, 역마살 (0) | 2025.06.27 |
12 신살의 개념과 특성, 12 신살 도표, 12 신살 각론 (0) | 2025.06.27 |